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즐거움의 샘

나는 배움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_동기부여 모닝콜#18 본문

끈기프로젝트_동기부여모닝콜

나는 배움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_동기부여 모닝콜#18

베로니카윤 2021. 12. 24. 11:03

나는 배움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I develop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learning.

동기부여 모닝콜#19

 

 

 

<기존의 학교가 제 생각과 달라서 제가 학교를 만들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일론 머스크(Elon Musk)입니다.

그는 미래의 아이들은 '이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하는데요,

그는 어떤 교육관을 가지고 있을까요?

 

 

Q. 기계들이 인간이 하는 많은 역할들을 대체하고 있죠.
하지만, 여전히 우리가 스스로 해야 하는 역할도 있는데요.
예를 들면, 아버지로서의 역할이죠.
다섯 아들들을 어떻게 교육하고 계신가요?

Elon : 사실 저는 작은 학교를 만들었습니다.

Q. : 어떤 학교인가요?
설명해 주실 수 있으세요?

Elon : 그럼요. 작은 학교이구요.
현재 14명의 학생만 있고, 9월에는 20명이 될 겁니다.
'애드 아스트라'라고 불리는데
이는 '별을 향하여'라는 뜻입니다.
대부분의 학교와 다른점은 학년이 없다는 것입니다.
1학년, 2학년, 3학년 같은 개념이 없고
모든 학생들을 동시에 같은 학년으로 공부하게 하죠.
마치 조립 라인처럼요.
이렇게 한 이유는, 어떤 사람들은 영어나 언어를 좋아해요.
어떤 사람들은 수학을 좋아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음악을 좋아하구요.
그리고 다른 시점에 다른 능력을 보이죠.

따라서 학생들의 적성과 재능에
맞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이것이 첫 번째 원칙입니다.

두 번째 원칙은, 문제 해결 능력이나
문제 자체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저 도구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요.
예를 들어, 엔진의 작동 방식을 가르치려 할 때,
좀 더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자, 우리는 스크루드라이버랑
렌치에 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줄게." 라고 하면서
스크루드라이버에 대한 강의를 만들고
렌치에 대한 강의를 만드는 것이죠.
하지만, 이는 매우 어려운 방법입니다.

훨씬 더 좋은 방법은,
"자 여기 엔진이 있어. 이제 분해해보자. 어떻게 분해할까?
아, 스크루드라이버가 필요하네.
이게 스크루드라이버의 용도야.
그리고 볼트를 풀기 위해 렌치가 필요한거야."

이렇게 가르칠 경우, 굉장히 중요한 점은
도구의 관련성이 명백해진다는 거에요.

Q. 그럼 5명의 아들들이 모두 그 학교에 다니나요?

Elon : 맞아요.

Q. 
언제까지요?

Elon : 글쎄요. 이 학교는 이제 딱 1년 되었어요.
제 아이들은 학교 가는 걸 좋아해요.

Q. 그럼 일반 학교에 아이들을 계속 안 보내실 생각인가요?

Elon : 안 보낼 거에요.
제 생각에 일반 학교들은
학교가 해야하는 일들을 하고 있지 않아요.
예를 들어 앞서 말한 2가지 원칙들을 지키지 않으니까요.

그래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생각했죠.
아마도 학교를 만드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실 제 아이들이 다니던 학교에 있던
선생님을 한 분 모셔왔습니다.
더 나은 교육방법이 있다고 믿는
저의 의견에 동의하신 분이였습니다.

Q. 아이들이 혁신적인 사고방식으로 당신을 놀라게 했나요?

네, 꽤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아이들은 학교에 가는 것을 정말 좋아하거든요.
좋은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어렸을 때 학교에 가는 것이 참 싫었어요.
고문이었지요.
제 아이들은 방학이 너무 길다고 생각해요.
얼른 학교로 돌아가고 싶어하죠.




 

 

 

Comments